카테고리 없음
의사소통의 다섯가지 기본사항3
노씨네
2021. 12. 20. 17:58
4. 청각
청각은 의사소통에서 아주 중요한 부문이다. 청각이 언어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정상적인 의사소통에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청각은 언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인간의 청각기관에는 귀, 청신경, 뇌가 포함된다. 귀는 외이, 중이, 내이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외이는 눈에 보이는 이개(안경을 걸칠 수 있게 된 부분)와 이도로 나뉜다. 이도는 고막에 이르는데 고막은 중이의 첫 번째 구조물이다. 음파는 이 도속으로 들어와서 고막을 치게 된다. 고막은 떨리게 되고 소리를 중이에 있는 세 개의 작은 뼈에 전달하게 된다. 내이는 액체로 가득 차 있고 달팽이관이라고 불리는 중요한 구조물을 가지고 있다. 중이에서의 진동은 내이의 액체를 움직인다. 이러한 움직임이 달팽이관 안에 있는 구조를 자극하게 되고 소리를 내이에서 뇌(뇌신경 8번)로 옮겨주는 청신경이 이런 자극을 포착한다. 뇌는 소리의 의미를 해석하게 된다. 정상적인 청각은 언어 행동의 습득에 필수적이다. 이동은 자신들이 들은 소리를 습득한다. 정상적인 청각은 또 언어인지에도 중요하다. 만약 발화를 아동이 지각하지 못한다면 의사소통이 모든 연령 수준에서 불가능할 것이다. 정상적인 청각은 또한 자신의 말을 모니터 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우리는 우리가 말한 것을 들으면서 말을 수정한다. 다시 말해서 청각은 우리의 발화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해준다. 이러한 피드백에 근거해서 우리는 우리의 발화를 수정한다.
5. 유창성
유창성(fluency)이란 쉽고, 부드럽고, 물 흐르듯이 그리고 노력을 크게 들이지 않고 발화하는 것을 말한다.유창한 발화는 청자에게 리듬감 있는 흐름의 인상을 준다. 유창한 발화는 화자에게 있어서는 편하고 노력이 적게 들고 근육의 긴장이 적게 든다. 유창성은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한다. 유창하지 못한 발화가 언어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항상 암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미가 통하는 문장을 유창하게 발화할 경우는 화자의 언어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나타낸다. 발화가 유창하지 않다고 해서 항상 말하는 사람의 지식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유창성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 즉 말을 더듬는 사람이나 외국어를 잘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경우 지식은 있어도 말이 유창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주제에 대해 유창하게 발화하면 지식이 높다는 표시가 된다. 어떤 주제에 대해 지식이 거의 없는 사람에 비해 그 주제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이 더 유창하게 말을 할 수 있다. 지식이 유창한 발화를 이끌어 낼 수는 있지만 유창한 발화를 하기 위해 지식이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발화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그렇다. 어떤 사람들은 지식이 많지 않은데도 유창하게 말한다. 그러나 어떤 주제에 대해 길고 유창하게 대화하려면 그 주제에 대해 상당한 지식이 필요하다. 유창한 발화는 더 많은 발화를 자극하기 때문에 계속 자연스럽게 흘러간다. 흘러가는듯한 유창한 발화에서는 한 단어가 다른 단어에 이어지고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을 유도한다. 한 생각이 다른 생각을 자극한다. 이전의 발화가 다음 발화를 일으켜 발화는 사슬처럼 이어진다. 잘 짜인 문장에서 모든 단어롸 문장은 다음 단어와 문장의 자극이 된다. 이러한 일이 일어날 때 발화 혹은 화자는 발화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부드럽게 넘어가는 듯하다. 유창한 발화의 사슬 같은 특징은 발화의 내적 언어의 특징에 기인한다. 내적 언어란 언어의 행동주의적 분석에서 보았듯이 화자 자신의 구두 행동이 원인이 되어 또 다른 구두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한 단어가 다른 단어에 이어진다"라고 했을 때 우리는 내적 언어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 요인 가운데에서 내적 언어가 발화를 유창하게 한다. 유창성은 운율이라고 불리는 의사소통의 또 다른 면과 밀접히 연관되어있다. 운율은 연속적인 발화의 속도, 음도, 크기, 강세, 억양, 리듬의 변이를 일컫는다. 운율은 음성과 유창서 모드에 나타난다. 음도나 크기의 변이가 적은 발화는 단조롭게 들린다. 그와 마찬가지고 멈칫거리거나 유창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느리거나 빠른 발화는 정상적이고 유창한 리듬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출처:학지사, M.N.Hegde